본문 바로가기
늬우스

강박장애 이해하기: 원인, 증상, 치료법

by 늬우스~ 2024. 6. 16.
728x90
반응형

강박장애 이해하기: 원인, 증상, 치료법

강박장애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생각이나 행동으로 고통을 겪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강박장애가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치료해야 합니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이지원 교수는 “불안장애의 한 종류인 강박장애는 고통스러운 증상이지만 전문가에게 체계적인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호전된다”고 말했습니다.

강박장애의 특징

강박장애는 원치 않는 생각이나 충동이 반복적으로 떠오르고, 이를 완화하기 위해 특정 행동을 반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9년 강박장애로 진료받은 환자는 3만152명이며, 20~30대가 가장 많았습니다. 남성 환자가 여성보다 더 많았습니다.

강박장애의 원인

강박장애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이나 뇌의 신경전달물질 이상, 스트레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강박장애의 주요 유형

강박장애의 주요 유형은 오염에 대한 강박적 사고,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유형, 물건을 정리하는 유형, 특정 행동이나 언어를 반복하는 유형, 물건을 수집하는 유형 등이 있습니다.

-오염-청결 강박 사고: 반복적으로 씻거나 닦고 청소하는 강박 행동이 나타납니다. 손이 자꾸 더럽다는 생각에 하루에도 수십 번 씩 손을 씻거나, 샤워를 하다가 아직 더러운 것 같다는 생각에 계속 씻다가 1~2시간 동안 샤워를 하기도 합니다.

 

-지속 확인 유형: 무언가를 자꾸 확인하는 유형인데 문을 제대로 잠그지 않은 것 같아 거듭 확인하거나, 가스를 잠그지 않은 것 같아 반복적으로 확인합니다.

 

-물건 정리 유형: 본인만의 방식으로 물건들을 배열하거나 정리해야만 하는 것입니다.

 

-특정 행동‧언어 반복 유형: 특정 행동이나 언어를 반복하는 것으로 ‘강박적 의식’이라고도 합니다.

 

-물건 수집 유형: ‘저장 유형’이라고도 하는데, 어떤 물건이든 언젠가 필요할 수도 있다는 강박 사고에 의해 버리지 못하고 모으게 되는 증상입니다.

 

강박장애 치료법

강박장애를 치료하려면 약물 치료와 인지 행동 치료를 병행해야 합니다. 약물로는 주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가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4~6주 후에 효과가 나타나고 8~16주 뒤에 효과를 보이기도 합니다.

인지 행동 치료는 강박 사고를 일으키는 상황에 노출시킨 후 회피하거나 강박 행동을 하지 못하게 하는 ‘노출 및 반응 방지 기법’과 비합리적인 생각을 바꾸게 하는 ‘인지 재구조화 기법’이 쓰입니다.

이지원 교수는 “강박장애는 갈수록 일상생활에 지장이 커지므로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게 매우 중요하다”며 “가족과 지인들의 지지와 이해도 치료에 큰 도움이 되며, 강박장애를 이해하고 치료법을 알려야 한다”고 했습니다.


 

 

728x90
반응형